Note(25)
-
[project.no-posts]깃허브 브랜치 이동시키다 일어난 험난한 푸시의 과정
원래 사용하던 블로그 - https://yeonnan.hashnode.dev/github-error [project.no-posts]깃허브 브랜치 이동시키다 일어난 험난한 푸시의 과정On branch login nothing to commit, working tree cleanyeonnan.hashnode.dev git push를 board에 올려야 하는데 login에 잘못 푸시 해서 깃허브 홈페이지에서 login 브런치를 지우고 다시 board 브랜치에 푸시를 하려고 했다.깃 커밋을 하면 On branch login nothing to commit, working tree clean 오류가 나고, 혹시나 git branch -d login이나 git branch -D login으로 삭제하려고 하면 e..
2025.03.15 -
DP1 문제
원래 사용하던 블로그 - https://yeonnan.hashnode.dev/dp1?source=more_series_bottom_blogs dp1 문제you are climbing a staircase. it takes n steps to reach the top. each time you can either climb 1 or 2 steps. in how many distinct ways can you climb to the top? 1개 또는 2개씩 오르기 가능, 정상에 가려면 n개 올라야함. f(1) = 1 f(2) = 2yeonnan.hashnode.dev you are climbing a staircase. it takes n steps to reach the top.each time you ..
2025.03.14 -
백트래킹 (Backtracking)
원래 사용하던 블로그 - https://yeonnan.hashnode.dev/backtracking?source=more_series_bottom_blogs 백트래킹 (Backtracking)완전탐색 가능한 경우의 수를 일일이 나열하면서 답을 찾는 방법말 그대로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탐색하여 문제의 답을 찾는 방법이다.이방법은 가장 확실하지만 경우의 수가 많아질수록 계yeonnan.hashnode.dev 완전탐색가능한 경우의 수를 일일이 나열하면서 답을 찾는 방법말 그대로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탐색하여 문제의 답을 찾는 방법이다.이방법은 가장 확실하지만 경우의 수가 많아질수록 계산 시간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백트래킹 (Backtracking)완전탐색의 한 방법으로 모든 경우의 수 중에서 해를..
2025.03.14 -
팩토리얼 (Factorial)을 재귀함수로
원래 사용하던 블로그 - https://yeonnan.hashnode.dev/factorial?source=more_series_bottom_blogs 팩토리얼 (Factorial)을 재귀함수로n(팩토리얼) 구하기n = 5인 경우 출력값 120 / n = 6인 경우 출력값 720 def factorial(n): if n yeonnan.hashnode.dev n(팩토리얼) 구하기n = 5인 경우 출력값 120 / n = 6인 경우 출력값 720def factorial(n): if n 재귀함수의 이론을 이해했다고 생각했지만 코드로 구현하는 과정이 어려웠다.그 상태로 재귀함수를 이용하여 팩토리얼 예제를 직접 작성해보면서 이 이론을 완벽하게 이해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 코드에 대한 설명을 듣고 나서야..
2025.03.14 -
재귀함수, 반복문, DP
원래 사용하던 블로그 - https://yeonnan.hashnode.dev/dp?source=more_series_bottom_blogs 재귀함수, 반복문, dp재귀함수 자기 자신을 호출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함수이다. 매개변수의 상태가 변화하면서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며,큰 문제를 보다 작은 문제로 쪼개어 접근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반복문yeonnan.hashnode.dev 재귀함수자기 자신을 호출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함수이다.매개변수의 상태가 변화하면서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며,큰 문제를 보다 작은 문제로 쪼개어 접근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반복문프로그래밍에서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동안 주어진 작업을 반복하여 수행하도록설계된 구조이다.for문은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할 때,while문은 특정 조건을..
2025.03.14 -
Big O, Sorting, 해시테이블, 스택, 큐
원래 사용하던 블로그 - https://yeonnan.hashnode.dev/big-o-sorting?source=more_series_bottom_blogs Big O, Sorting, 해시테이블, 스택, 큐* 노마드 코더 자료구조 영상 Big O Big O를 이용하여 알고리즘의 시간복잡도를 인풋과 연관하여 빠르게 알아낼 수 있다. 컴퓨터의 속도는 하드웨어가 결정한다. 따라서 알고리즘의 스피드는 완료yeonnan.hashnode.dev * 노마드 코더 자료구조 영상 Big O Big O를 이용하여 알고리즘의 시간복잡도를 인풋과 연관하여 빠르게 알아낼 수 있다.컴퓨터의 속도는 하드웨어가 결정한다. 따라서 알고리즘의 스피드는 완료까지 걸리는 절차의 수 (steps)으로 결정된다.선형검색 알고리즘은 한개씩 ..
2025.03.14 -
배열, 선형검색 알고리즘, 이진검색 알고리즘
원래 사용하던 블로그 - https://yeonnan.hashnode.dev/array 배열, 선형검색 알고리즘, 이진검색 알고리즘* 노마드 코더 자료구조 영상 Array Time Complexity (시간 복잡도) 란? 데이터 구조의 오퍼레이션 혹은 알고리즘이 얼마나 빠르고, 느린지 측정하는 방법실제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 아닌 얼마나 많은yeonnan.hashnode.dev * 노마드 코더 자료구조 영상 ArrayTime Complexity (시간 복잡도) 란?데이터 구조의 오퍼레이션 혹은 알고리즘이 얼마나 빠르고, 느린지 측정하는 방법실제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 아닌 얼마나 많은 단계(steps)가 있는가로 측정한다. 메모리 관점에서의 배열1. volatile(휘발성) 메모리메모리 RAM. 컴퓨터를..
2025.03.14 -
Docker를 사용한 ec2 배포
원래 사용하던 블로그 - https://yeonnan.hashnode.dev/docker-ec2?source=more_series_bottom_blogs ubuntu@ Unprotected Private Key File 경고 chmod 400 {.pem 파일 경로} sud" data-og-host="yeonnan.hashnode.dev" data-og-source-url="https://yeonnan.hashnode.dev/docker-ec2?source=more_series_bottom_blogs" data-og-url="https://yeonnan.hashnode.dev/docker-ec2" data-og-image="https://scrap.kakaocdn.net/dn/q1U1k/hyYqLwBQU..
2025.03.14 -
Nginx - Gunicorn - Django
원래 사용하던 블로그 - https://yeonnan.hashnode.dev/nginx-gunicorn-django?source=more_series_bottom_blogs nginx - gunicorn - djangoDjango Django는 runserver 명령어로 로컬에서 서버를 실행할 수 있지만, 이는 개발환경에서만 사용 Django는 자체적으로 웹서버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배포할 때는 Gunicorn 같은웹 애플리케이션 서버yeonnan.hashnode.dev DjangoDjango는 runserver 명령어로 로컬에서 서버를 실행할 수 있지만, 이는 개발환경에서만 사용Django는 자체적으로 웹서버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배포할 때는 Gunicorn 같은웹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필요하..
2025.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