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eonahn 님의 블로그

yeonahn 님의 블로그

  • dev (78)
    • 프로젝트 (12)
      • Whatever Song (6)
      • One Day Chat (6)
    • Note (25)
      • CS, Algorithm (11)
      • Deployment (5)
      • Git&Github (4)
      • Homework (5)
    • Python, Django (37)
      • Python (21)
      • Django (16)
    • SQL (4)
  • 홈
  • 태그
  • Github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yeonahn 님의 블로그

컨텐츠 검색

태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Note/CS, Algorithm(11)

  • DP1 문제

    원래 사용하던 블로그 - https://yeonnan.hashnode.dev/dp1?source=more_series_bottom_blogs dp1 문제you are climbing a staircase. it takes n steps to reach the top. each time you can either climb 1 or 2 steps. in how many distinct ways can you climb to the top? 1개 또는 2개씩 오르기 가능, 정상에 가려면 n개 올라야함. f(1) = 1 f(2) = 2yeonnan.hashnode.dev you are climbing a staircase. it takes n steps to reach the top.each time you ..

    2025.03.14
  • 백트래킹 (Backtracking)

    원래 사용하던 블로그 - https://yeonnan.hashnode.dev/backtracking?source=more_series_bottom_blogs 백트래킹 (Backtracking)완전탐색 가능한 경우의 수를 일일이 나열하면서 답을 찾는 방법말 그대로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탐색하여 문제의 답을 찾는 방법이다.이방법은 가장 확실하지만 경우의 수가 많아질수록 계yeonnan.hashnode.dev 완전탐색가능한 경우의 수를 일일이 나열하면서 답을 찾는 방법말 그대로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탐색하여 문제의 답을 찾는 방법이다.이방법은 가장 확실하지만 경우의 수가 많아질수록 계산 시간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백트래킹 (Backtracking)완전탐색의 한 방법으로 모든 경우의 수 중에서 해를..

    2025.03.14
  • 팩토리얼 (Factorial)을 재귀함수로

    원래 사용하던 블로그 - https://yeonnan.hashnode.dev/factorial?source=more_series_bottom_blogs 팩토리얼 (Factorial)을 재귀함수로n(팩토리얼) 구하기n = 5인 경우 출력값 120 / n = 6인 경우 출력값 720 def factorial(n): if n yeonnan.hashnode.dev n(팩토리얼) 구하기n = 5인 경우 출력값 120 / n = 6인 경우 출력값 720def factorial(n): if n  재귀함수의 이론을 이해했다고 생각했지만 코드로 구현하는 과정이 어려웠다.그 상태로 재귀함수를 이용하여 팩토리얼 예제를 직접 작성해보면서 이 이론을 완벽하게 이해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 코드에 대한 설명을 듣고 나서야..

    2025.03.14
  • 재귀함수, 반복문, DP

    원래 사용하던 블로그 - https://yeonnan.hashnode.dev/dp?source=more_series_bottom_blogs 재귀함수, 반복문, dp재귀함수 자기 자신을 호출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함수이다. 매개변수의 상태가 변화하면서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며,큰 문제를 보다 작은 문제로 쪼개어 접근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반복문yeonnan.hashnode.dev 재귀함수자기 자신을 호출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함수이다.매개변수의 상태가 변화하면서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며,큰 문제를 보다 작은 문제로 쪼개어 접근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반복문프로그래밍에서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동안 주어진 작업을 반복하여 수행하도록설계된 구조이다.for문은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할 때,while문은 특정 조건을..

    2025.03.14
  • Big O, Sorting, 해시테이블, 스택, 큐

    원래 사용하던 블로그 - https://yeonnan.hashnode.dev/big-o-sorting?source=more_series_bottom_blogs Big O, Sorting, 해시테이블, 스택, 큐* 노마드 코더 자료구조 영상 Big O Big O를 이용하여 알고리즘의 시간복잡도를 인풋과 연관하여 빠르게 알아낼 수 있다. 컴퓨터의 속도는 하드웨어가 결정한다. 따라서 알고리즘의 스피드는 완료yeonnan.hashnode.dev * 노마드 코더 자료구조 영상 Big O Big O를 이용하여 알고리즘의 시간복잡도를 인풋과 연관하여 빠르게 알아낼 수 있다.컴퓨터의 속도는 하드웨어가 결정한다. 따라서 알고리즘의 스피드는 완료까지 걸리는 절차의 수 (steps)으로 결정된다.선형검색 알고리즘은 한개씩 ..

    2025.03.14
  • 배열, 선형검색 알고리즘, 이진검색 알고리즘

    원래 사용하던 블로그 - https://yeonnan.hashnode.dev/array 배열, 선형검색 알고리즘, 이진검색 알고리즘* 노마드 코더 자료구조 영상 Array Time Complexity (시간 복잡도) 란? 데이터 구조의 오퍼레이션 혹은 알고리즘이 얼마나 빠르고, 느린지 측정하는 방법실제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 아닌 얼마나 많은yeonnan.hashnode.dev   * 노마드 코더 자료구조 영상 ArrayTime Complexity (시간 복잡도) 란?데이터 구조의 오퍼레이션 혹은 알고리즘이 얼마나 빠르고, 느린지 측정하는 방법실제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 아닌 얼마나 많은 단계(steps)가 있는가로 측정한다. 메모리 관점에서의 배열1. volatile(휘발성) 메모리메모리 RAM. 컴퓨터를..

    2025.03.14
  • 시간 복잡도, 공간 복잡도

    원래 사용하던 블로그 - https://yeonnan.hashnode.dev/big-o?source=more_series_bottom_blogs 시간 복잡도, 공간 복잡도공간 복잡도 프로그램을 실행시켰을 때 필요로 하는 자원(메모리) 공간의 양 총 필요 저장 공간 고정 공간(알고리즘과 관계 없는 공간): 코드 저장공간, 단순 변수 및 상수 가변 공간(알고리즘의yeonnan.hashnode.dev 공간 복잡도프로그램을 실행시켰을 때 필요로 하는 자원(메모리) 공간의 양총 필요 저장 공간고정 공간(알고리즘과 관계 없는 공간): 코드 저장공간, 단순 변수 및 상수가변 공간(알고리즘의 실행과 관련 있는 공간): 실행 중 동적으로 필요한 공간공간 복잡도는 컴퓨터 저장공간의 기술 발달로 시간복잡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2025.03.14
  • TCP, UDP, IP, PORT

    원래 사용하던 블로그 - https://yeonnan.hashnode.dev/tcp-udp-ip-port tcp, udp, ip, porttcp, udp, ip, porttcp, udp, ip, portyeonnan.hashnode.dev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의 약자로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는 프로토콜이다.패킷을 안전하게 전달해주는 전송 프로토콜로 IP위에서 동작하고 데이터의 전달을 보장하고 순서도 보장한다.TCP는 프로토콜내 여러 규칙으로 인해 신뢰성 높은 연결을 지원하지만 그만큼 속도가 느리다. UDPUser Datagram Protocol의 약자로 데이터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TCP와는 달리 연결 지향적이지 않고, 데이터 전송의 신..

    2025.03.14
  • OSI 7계층

    원래 사용하던 블로그 - https://yeonnan.hashnode.dev/osi-7 Osi 7계층OSI 7계층이란? OSI 7계층은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통신하는 구조를 7개의 계층으로 분리하여 각 계층간 상호 작동하는 방식을 정해놓은 것이다. 이구조는 네트워크 통신의 복잡성을 줄이고, 문제yeonnan.hashnode.dev  OSI 7계층이란?OSI 7계층은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통신하는 구조를 7개의 계층으로 분리하여 각 계층간 상호작동하는 방식을 정해놓은 것이다.이구조는 네트워크 통신의 복잡성을 줄이고, 문제해결을 용이하게 하며,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간의 호환성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졌다. OSI 7계층의 구성물리계층 (Physical Layer)실제로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2025.03.14
이전
1 2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