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Django/Django(16)
-
[LS] TypeError Django REST Framework에서 댓글 작성 시 발생하는 Comment.objects.create() 오류
원래 사용하던 블로그 - https://yeonnan.hashnode.dev/typeerror-django-rest-framework-commentobjectscreate?source=more_series_bottom_blogs TypeError: Comment() got unexpected keyword argumentsSerializers.pyclass CommentSerializer(serializers.ModelSerializer): class Meta: model = Comment fields = '__all__' read_only_fields = ['post']Views.py def post(self, request, post_id): ..
2025.03.16 -
[LS] Python으로 카카오 map API 사용하기
원래 사용하던 블로그 - https://yeonnan.hashnode.dev/python-map-api?source=more_series_bottom_blogs 1. 개발자 사이트 https://developers.kakao.com/에 접속하여 카카오 계정으로 로그인2. 시작하기 - 애플리케이션 추가하기3. 도구 - Maps API - Web - 시작하기시작하기를 누르면 https://apis.map.kakao.com/web/guide/로 이동된다.4. 사이트 도메인 등록 (내 애플리케이션 - 앱설정 - 플랫폼 으로 들어가 호스팅 주소 작성)예 : http://127.0.0.1:8000 를 적어주고 저장5. 내 애플리케이션 - 앱 설정 - 앱 키에서 REST API KEY 복사6. config.py에 R..
2025.03.16 -
[LS] jwt login unauthorized 에러
원래 사용하던 블로그 - https://yeonnan.hashnode.dev/jwt-login-unauthorized postman으로 구동과정을 진행했으며, jwt를 사용하여 로그인을 구현하였다.→ jwt를 사용하여 로그인을 할때는 views.py에는 로직을 작성할 필요가 없음회원가입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으나 로그인을 하면 jwt login unauthorized 에러 발생 회원가입 postman 로그인 postman 오류 로그첫번째 비밀번호 해싱 결과다른분이 내 폴더로 회원가입을 진행했을 때는 위의 해싱 결과와 다른 결과가 나옴 DB와 migrate를 날리고 새롭게 migration 후에 회원가입을 진행하면 아래와 같은 비밀번호 해싱 결과가 나오며 postman 구동시 로그인 처리가 잘 된다.DB를 ..
2025.03.16 -
ASGI, 웹소켓
원래 사용하던 블로그 - https://yeonnan.hashnode.dev/asgi?source=more_series_bottom_blogs asgi, 웹소켓ASGI Django의 WSGI의 비동기 버전으로 웹소켓이나 실시간 기능 같은 비동기 작업을 처리할 수 있도록나온 인터페이스이다. 주로 채팅, 실시간 알림 등 비동기 작업이 필요한 웹 애플리케이션에 사yeonnan.hashnode.dev ASGIDjango의 WSGI의 비동기 버전으로 웹소켓이나 실시간 기능 같은 비동기 작업을 처리할 수 있도록나온 인터페이스이다.주로 채팅, 실시간 알림 등 비동기 작업이 필요한 웹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된다.여기서 동기와 비동기란?동기한번에 하나의 작업만 처리하는 방식작업 A가 끝날 때까지 작업 B는 기다려야 한다.비..
2025.03.15 -
Django Channels 튜토리얼
원래 사용하던 블로그 - https://yeonnan.hashnode.dev/django-channels?source=more_series_bottom_blogs requirements.txt djan" data-og-host="yeonnan.hashnode.dev" data-og-source-url="https://yeonnan.hashnode.dev/django-channels?source=more_series_bottom_blogs" data-og-url="https://yeonnan.hashnode.dev/django-channels" data-og-image="https://blog.kakaocdn.net/dna/dwp6Su/hyYqTnY8vu/AAAAAAAAAAAAAAAAAAAAAE7Hw0uHVqUBsUgasXCO8IcDIgk2Rza-ld2Cc6XxzOZB/img.p..?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566523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2FjPYTQao3b%2FiZ0r%2FYlr0gGAtzlQ%3D
2025.03.15 -
gunicorn --bind 0:8000 api_project.wsgi:application No module named 'django'
원래 사용하던 블로그 - https://yeonnan.hashnode.dev/gunicorn-bind-08000-apiprojectwsgiapplication-no-module-named-django?source=more_series_bottom_blogs gunicorn --bind 0:8000 api_project.wsgi:application No module named 'dgunicorn --bind 0:8000 api_project.wsgi:application No module named 'django'yeonnan.hashnode.dev gunicorn --bind 0:8000 api_project.wsgi:application으로 서버를 열었을 때ModuleNotFoundError: No..
2025.03.15 -
'utf-8' codec can't decode byte 0x89 in position 0: invalid start byte
원래 사용하던 블로그 - https://yeonnan.hashnode.dev/utf-8-codec-cant-decode-byte-0x89-in-position-0-invalid-start-byte?source=more_series_bottom_blogs 'utf-8' codec can't decode byte 0x89 in position 0: invalid start byte'utf-8' codec can't decode byte 0x89 in position 0: invalid start byteyeonnan.hashnode.dev postman에 게시글 등록 send 버튼을 눌렀을 때 아래의 에러 발생'utf-8' codec can't decode byte 0x89 in position 0: inv..
2025.03.15 -
raise_exception=True
원래 사용하던 블로그 - https://yeonnan.hashnode.dev/raiseexceptiontrue?source=more_series_bottom_blogs raise_exception=True게시글 생성은 게시글 목록 조회에서 POST 상태일 때 넘어갈 수 있다. @api_view(['GET', 'POST']) def article_list(request): if request.method == 'GET': articles = Article.objects.all() serializer = ArticleSerializer(articles, many=Trueyeonnan.hashnode.dev 게시글 생성은 게시글 목록 조회에서 POST 상태일 때 넘어갈 수 있다.@api_view(['GET'..
2025.03.13 -
Django HTTP
원래 사용하던 블로그 - https://yeonnan.hashnode.dev/django-http?source=more_series_bottom_blogs Django HTTPDjango HTTP urlsyeonnan.hashnode.dev HTTP요청 (Request)클라이언트 → 서버로 전송되는 메세지응답 (Response)서버 → 클라이언트로 전송되는 메세지HTTP의 특성Stateless (무상태)서로를 기억하지 않는다. → 상태를 보존하지 않기 때문에 상태를 기억하기 위해 나온 기술 : 쿠키, 세션→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하지 않는다.→ 모든 응답과 요청은 독립적이다.Connectless (비연결성)한번 요청을 주고받고 나면 연결을 끊어버린다. 이후 자원을 주고받고 싶으면 다시 연결을 ..
2025.03.13